Edua | Blog

홍영표 대표 저서 2

KITIS는 ASTM, IEEE
그리고 SAE International의 한국서비스 주관사 입니다.

"에디슨과 함께하는 미국의 탄생과 남북전쟁"

에디슨과 함께하는
미국의 탄생과 남북전쟁

기업가의 시선으로 바라 본
미국 건국의 역사와 남북전쟁 (Civil War, 내전 )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를 저자는 저자의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
“ Edison 나이 18 세 때인 , 1865 년 4 월 9 일 남군 총사령관 Robert Lee 장군은
북군 총사령관 율리시즈 그랜트 장군에게 항복한다 .
비로소 장장 4 년간 진행되면서 당시 미국인구의 10% 인 300 만명을 희생시킨 ,
미국 내전 Civil War 는 공식적으로 끝난다 .

그로부터 6 일 뒤 워싱턴 DC, 포드극장에서 연극을 관람하던 링컨 대통령이 암살당한다.
남북전쟁이 끝난 후 , 남부지역의 참상에 절망한 Edison 은 브라질로 이민을 갈려고 뉴올리언즈로 내려갔다 .

당시 영국 정부의 무분별하고 , 임시방편적인 조세정책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 대표없인 , 과세없다 .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 라는 구호를 전면에 내세우고 , 1775 년 부터 1783 년 까지 지속된 미국 독립혁명전쟁 때 , 에디슨의 증조부인 John Edison 은 영국편에 서서 워싱턴 장군부대와 싸웠다 .
그러나 또 다른 친척 할아버지인 Thomas Edison 은 독립혁명군으로 영국군과 싸웠다 . 이것이 저자가 Edison 을 연구하면서 , 미국의 탄생과 미국 내전 Civil War 에 관심을 갖게 된 동기이다 . ”

이처럼 이 책은 좀 특이한 미국의 건국의 역사와 남북전쟁 (Civil War, 내전 ) 에 대한 책이다 .

이 책의 저자는 지난 30 여년을 미국 학술연구정보회사인 IHS Markit 과 미국전기전자공학회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와 미국자동차공학회 (SA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의 한국서 비스주관사의 일을 하면서 느낀 미국에 대한 생각을 이 책에 담았다 .

이 책은 총 357 쪽으로 , 서문과 4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제 1 장에는 네델란 드 이민자 가계인 에디슨 가계의 역사와 왜 , TA Edison 은 오하이오주 밀란 Milan 에서 태어났으면 , 왜 , 미시건주 포트 휴런 Port Huron 으로 이사를 가 서 , 열차판매원이 되었는지와 에디슨의 결혼과 자녀에 대해 기술하였고 , 제 2 장에는 오늘날 5G 모바일 통신세계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1836 년 새뮤엘 모스 Samuel Morse 의 전신발명과 사업화 과정에 대해 먼저 기술하 였고 , 어떻게 어린 에디슨이 열차판매원에서 전신원 plug 이되어 , 발명벤처 사업가의 길로 접어들었는지에 대해 개괄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

혁명국가 미국의 탄생과정을 그린 제 3 장에서는 미국이민의 시작과 개척과정 , 그리고 영국 , 프랑스 , 네델란드의 America 식민지 쟁탈전에 대해 기술하였고 , 조 지 워싱턴 George Washington 을 필두로 당시 미국 국부들의 영국과의 독립 투쟁전개과정과 독립전쟁에 대해서 시간대별로 기술하였다 .. 제 4 장에서는 이 책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 남북전쟁 (Civil War, 내전 ) 에 대해 전 쟁 발발 원인과 그 전개 과정을 역시 시간대별로 기술하고 있다 .

사실 , 저자는 이 책에서 가장 중점을 둔 장은 4 장인 남북전쟁과 Abraham Lincoln 대통령에 대해서이다 . 그래서 제 3 장의 미국의 건국의 역사도 왜 , 남북전쟁이 발생하였는가 하는 원인을 찾 아 가는 과정으로 기술하고 있다 . 저자 가 남북전쟁을 알아보는 과정에서 , 이 전쟁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처절한 전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 당시 미 국 인구가 3,000 만명이 안되었는데 , 인 구의 10% 인 약 300 만명이 죽거나 부상 을 당하거나 , 행방불명이 되었다고 역 사는 기록하고 있다 .

사망자만 약 100 만명이었다는데 , 이는 이 후 미국이 참전한 어느 전쟁의 사망자보다 더 많은 수치이다 . 6.25 때 사망한 군인은 한국군 138,000 여명 , 북한군 50만명 , 중공군 15만명 , 미군을 포함한 UN 군이 4만명으로 도합 83 만명 정도였다고 한다 .

1865 년 5 월 조지아주 앤더슨빌 남군 포로수용소에서 발견된 북군포로 사진 . 말로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앙상한 몰골에 경악을 금치 못하게 한다 .( 책 292 쪽 )

베트남전에서 미군의 사망자 수가 58,315명 , 1 차 세계 대전 때의 미군 사망자가 360,300 명 , 2 차 세계대전 때가 약 407,000 명의 미국이 희생을 당했다 한 다 . 이러한 수치만 놓고 볼 때 , 1861 년 4월부터 1865 년 4월까지 있었던 미국 남북전쟁 때의 희생자가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을 것이다 .

탱크와 비행기 가 등장하기 전이라는 것을 생각하여 보면 , 당시 전쟁이 얼마나 치열하였 고 , 처절하였는지 짐작해 볼 수 있다 . 무엇이 80 여년전 함께 새롭게 국가를 탄생시킨 국민을 남북으로 갈라놓아 이렇게 처절하게 싸우고 죽이게 만 들었는가 ?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 전쟁이 끝나고 , 남군 포로수용소에서 발견된 북군 포로의 사진은 이 전쟁이 얼마나 처절한 증오의 전쟁이었는가를 알 수 있다 .

그리고 1865 년 4 월 9 일 Lee 장군의 항복으로 전쟁이 끝난 후 , 미국은 빠르게 정치적으로 안정이 되고 , 사회적으로 통합이 되면서 , 경제적 으로 영국을 제치고 세계 제 1 의 경제 대국이 되었다 .

무엇이 엄청난 국 가적 재난을 이렇게 빨리 극복하고 , 미국의 국가통합을 이룩하도록 만들었는가 ? 우리의 6.25 전쟁을 생각하면 상상이 안 되는 일의 연속이 1860 년대 미국에서 일어난 것이다 . 저자는 바로 이러한 이유로 미국의 남북전쟁을 좀 더 깊게 들여다 봤다 .

누가 뭐래도 미국은 현재 우리나라의 최고의 우방이다 . 우리는 미국을 잘 아는 것 같으나 , 잘 모른다 .

우리는 미국을 좀 더 잘 알 필요가 있다 . 기존 의 미국 역사에 관한 책이 전공 학자들이 쓴 책이나 , 번역서가 많아 , 중심을 잡고 읽기가 쉽지 않으나 , 이 책은 오랜 기간 미국과 무역을 하고 있는 기업가가 써 , 일반인들은 보다 쉽게 미국의 두 개의 국가적 사건인 독립혁명전쟁과 남북전쟁 그리고 , 오늘날 미국 산업 발전의 토대가 되는 발명 벤처사업에 대해서도 이 책을 통해 많은 힌트를 얻게 되리라 생각되어 일독 을 권한다 .
 

- 차 례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이민자 에디슨 가계와 소년 사업가 에디슨

 

1. 포트 휴런 기차역 (Port Huron, Michigan)
2. Edison 발병여정의 출발점
3. Edison 가계 ( 家系 ) 와 Thomas Alva Edison 이름의 유래
4. 에디슨의 아버지 Edison ’ s Father
5. 에디슨의 어머니 ,Edison ’ s Mother
6. 열차 판매원 , 비즈니스 맨 ?
7. 최초의 정보장사꾼 ? The first Information Businessman?
8. 세계최초 열차신운 The Weekly Herald 창간 ,
9. 에디슨의 결혼과 그의 자녀들  Edison ’ s Marriage and His Children

Chapter 2
   신생국 미국의 새로운 산업 탄생과
   에디슨과 함께한 초창기 미국 산업계의 거물들

1. Edison 전신기사 (telegrapher, or plug) 가 되다 .
2. 최초의 전신 발명가 Samuel Morse
3. 새로운 산업 , 전신산업의 탄생
4. 신생국 미국의 영토확장
5. 최초의 타이쿤 , 밴더빌트
6, 철도사업과 초창기 산업계의 거물들
7. 신생국 미국의 철도약사
8. 최초 , 최대 전신회사 Western Union
9. Plug 에디슨 , 유랑의 시작 ,
10. 해고의 연속과 두 번의 죽을 고비
11. 보스톤 Western Union 본사로
12. 전신을 넘어 , Over the Telegraphy
13. 최초의 발명과 상품화
14. 발병 전업의 길로
15. 무일푼으로 New York 으로
16. Edison, 홀로 서다

Chapter 3
   혁명국가 , 미 합중국의 탄생
   the Birth of United States of America

1. 신생국 , 미국의 최대의 위기, 남북전쟁 (Civil War, 내전 ) 기원을 찾아서 ,
2. 남 , 1607 년 버지니아의 Jamestown :
   북 ,1620 년 New England 의 플리머스 Plymouth
3. 유럽 3 국 ( 영국 , 프랑스 , 네델란드 ) 의 식민지 헤게모니 쟁탈전쟁
4. 헤게모니 쟁탈 1 차전 영국 : 네델란드
5. 헤게모니 쟁탈 2 차전 영국 : 프랑스
6. 프렌치 인디언 전쟁 (French Indian War, 1755-1763)
7. 독립전전쟁의 길로
8. 비빌결사조직 , 자유의 아들들 Sons of Liberty
9. 보스턴학살
10. 독립전쟁의 서곡 , 보스턴 차 사건 Boston Tea Party,
11. 독립전쟁의 시작 Lexington 전투 (1775. 4. 19) 와 제 1 차 대륙회의 (1774.9.5 – 1774. 12. 16)
12. 제 2 차 대륙회의 (1775. 5. 10-1781.3.1) 13. 자유의 아들들 , Thomas Paine, 14. 독립선언서
15. 고뇌하는 총사령관 George Washington
16. 트렌튼 ( 뉴저지주 ) 전투 (1776. 12. 24)
17. 새러토가 (New York 주 ) 전투 (1777. 9 – 10)
18. 요크타운 ( 버지니아주 ) 전투 (1781.9.28 – 10.19)
19. 파리조약 Treaty of Paris 과 전쟁종결
20. 대륙회의에서 연합회의로
21. 셰이즈의 반란 Shays ’ Rebellion
22 . 애너폴리스 회의 (1786. 9. 11) 와 알렉산더 해밀턴 Annapolis & Alexander Hamilton
23 . 필라델피아 헌법제정회의 (1787.5.25-9.17)
24. 초대 대통령 George Washington
25. 최초 , 최고의 대통령 George Washington?
26. 2 대 대통령 , 존 애담즈 John Adams
27. 3 대 대통령 토마스 제퍼슨 Thomas Jefferson

Chapter 4
   남북전쟁과 링컨
   Civil War (1861. 4. 12 – 1865. 4. 9 ) & Abraham Lincoln (1809. 2. 12 – 1865. 4. 15)

1. 왜 , 남 , 북은 처절하게 싸웠는가 ?

1-1) 링컨 , 순교자인가 , 혁명의 완성자인가 ? 1-2) 전쟁의 원인에 대하여
1-3) 전쟁 전 남 , 북 국력 비교

2. 남북전쟁 前 , 주요 흑백갈등사건과 정치적 타협안들

2-1) 1820 미주리 타협안 Missouri Compromise 1820. 5. 8
2-2) 1831 흑인노예 ‘냇 터너 Nat Turner ’ 폭동사건 1831. 8. 21
2-3) 1850 대타협 Compromise
2-4) 1854 스티브 더글라스 타협안 Kensas-Nebraska Act 1854 링컨 - 더글러스 공개토론회 1854 년 9 월 , 10 월
2-5) 1856 존 브라운의 피의 캔자스 봉기 John Brown ’ s Riot in Kansas
2-6) 1857 흑인 ‘드레드 스콧 Dred Scott ’ 소송사건
2-7) 톰 아저씨의 오두막 Uncle Tom ’ s Cabin

3. 남군의 Robert E. Lee 장군과 북군의 윈필드 스콧 장군

4. 전투의 시작

4-1) 1861. 7. 21 제 1 차 불런전투 The First Battle of Bull Run 4-2) 무시당하는 대통령 Abraham Lincoln
4-3) 1861. 8. 10 미주리 Missouri 주지사의 배신과 윌슨 크릭전투 Battle of Wilson Creek
4-4) 1861. 10. 21 볼의 절벽 전투 Battle of Ball ’ s Bluff
4-5) 1861. 11. 7 벨몬트 전투 Battle of Belmont
4-6) 1862. 2. 6 헨리 요새 전투 Battle of Fort Henry
4-7) 1862. 2. 12 – 16 도넬슨 요새 전투 Battle of Fort Donelson
4-8) 1862. 3. 7 – 8 피 리지 전투 Battle of Pea Ridge(Elkhorn Tavern), Arkansas
4-9) 1862. 3. 9 남북간 해전 발생 The Naval Battle between USS Monitor and the CSS Virginia
4-10) 1862. 4. 6 – 7 샤일로 ( 실로 ) 전투 The Battle of Shiloh(Pittsburg Landing) 4-11)
      1862. 4. 24 뉴올리언스 항구 점령 Union Captures New Oreleans
4-12) 1862. 5. 25 제 1 차 윈체스터 전투 4-13) 1862. 5. 31 세븐 파인즈 전투 4-14)
      1862. 6. 6 제 1 차 멤피스 전투
4-15) 1862. 6. 25 칠일 전투 The Seven Days Battles 4-16) 1862. 8. 28 제 2 차 불런 전투


5. 끝없는 링컨의 비극 Lincoln ’ s Endless Tragedy


6. 전투 , 대 살륙전이 되다

6-1) 1862, 9, 17 앤티텀 전투
6-2) 1862. 9. 22 노예해방령 반포 Emancipation Proclamation
6-3) 게티스버그를 향하여 , Toward Gettysburg!
6-4) 1862. 12. 11-15 프레드릭스버그 전투
6-5) 1862. 12. 31 스톤즈강 전투
6-6) 1863. 4. 30 챈슬러즈빌 전투
6-7) 1863. 5. 18-7.4 빅스버그 포위작전
6-8) 1863. 6. 9 브랜디 역 전투
6-9) 1863. 6.13 제 2 차 윈체스터 전투
6-10) 1863. 7. 1 – 3 게티스버그 전투 The Battle of Gettysburg, Pennsylvania,
6-11) 게티스버그 전투를 승리로 이끈 조지 미드 장군의 항명과 Grant 장군 중용
6-12) 1863. 7. 10-11, 18 제 1, 2 차 와그너 요새 전투
6-13) 1863. 7. 13 – 17 뉴욕 징병거부 폭동 발생
6-14) 1863. 8. 21 캔자스 Kansas 주 로렌스 마을 대학살사건 발생
6-15 ) 1863. 9. 7 – 9 컴버랜드 갭 전투 6-16) 1863. 9. 9 제 1 차 채타누가 점령
6-17) 1863. 9. 18 – 20 치카마우가 전투 The
6-18) 1863. 9. 21 – 11.25 채타누가 포위
6-19) 1863. 10. 5 최초 반 잠수정의 어뢰 공격 ,
6-20) 1863. 10, 14 브리스토역 전투
6-21) 1863. 11. 19 링컨의 게티스버그 연설 Lincoln ’ s Gettysburg Address
6-22) 1863. 11. 26 마인 런 전투
6-23) 1863. 11. 27 – 12. 3 녹스빌 포위전투


7. Grant 장군 , 북군의 구세주인가 ?


8. 셔먼 Sherman, 그랜트 Grant 를 승계하다


9. 전쟁의 후반부

9-1) 1863. 12. 8 링컨 대통령 남부 재건계획과 대사면 계획 발표
       Lincoln ’ s Proclamation of Amnesty and Reconstruction
9-2) 1864. 2. 9 리비감옥탈옥사건발생
9-3) 남 , 북 전쟁 포로 와 Andersonville 포로수용소 , Georgia 주 -
9-4) 1864. 2. 14 -20 머리디안 전투
9-5) 1864. 2. 17 최초 잠수함 해전 발발
9-6) ‘ 1864. 3. 10 – 5. 22 붉은 강 전투
9-7) 1864. 4. 8 맨스필드 전투
9-8) 1864. 4. 9 플레전트 힐 전투
9-9) 1864. 4, 12 포트 필로우 전투


10. 전쟁을 끝내기 위해 북이 선택한 전략

10-1) 1864. 5. 4 – 5. 5 윌더니스 전투
10-2) 1864. 5. 8 – 5. 21 스팟실베니아 코트하우스 전투
10-3) 1864. 6. 1 - 6. 3 콜드 하버 전투
10-4) 최후의 전쟁터 , 피터스버그와 리치몬드
10-5) 1864. 6. 9 – 1865. 3. 25 피터스버그 포위작전
10-6) 1865. 4. 9 애퍼매톡스 코트하우스 전투와 Lee 장군의 항복


11. 1865. 4. 15 순교자 Lincoln, 미국혁명을 완수하다 ?


주요연표
(America 발견 , 이민 , 개척 , 건국초기 , 남북전쟁 , 에디슨 관련 )

 
참고문헌
 
David Colbert, Thomas Edison 10 Days : 10 Shook His World and Yours, 2008, Aladdin Paperbacks of Simon & Schuster, Inc. ISBN 978-1-4169-6444-5
Randall Stross 지음 , The Wizard of Menlo Park, How to Thomas Alva Edison Invented the Modern World, 2007,
     First Paperback Edition, Three Rivers Press, ISBN 978-1-4000-4763-5
Nigel Cawthorn, 지음 , Tesla vs Edison, The Life-Long Feud that Electrified the World, Chartwell Books 출판 , ISBN 978-0-7858-3378-9
Laurie Carlson, Thomas Edison for Kids: His Life and Ideas, Chicago Review Press, 2006, ISBN 978-1-55652-584-1
Richard Moran, Executioner ’ s Current: Thomas Edison, George Westinghouse, and the Invention of Electric Chair, - 1 st ed.
     Random House 刊 2002, ISBN 0-375-41059-7
Jan Adkins, Biography, Thomas Edison, A Photographic Story of a Life, DL Publishing-Penguin Random House, 2009 ISBN 978-0-7566-5207-4(paperback)
Frank Lewis Dyer, Edison His Life and Inventions, Made in the USA San Bernardino, CA,12 Oct. 2017 ISBN 978 1548839475
홍영표 흙수저 에디슨 세상을 비추다 2017 3 초판 3 쇄 키티스산학연정보㈜ ISBN 979-11-953000-2-0 03320
장세원 (1997), 에디슨의 생애와 업적 . 전기저널 , 32-42 (1997. 8. 32-42 (11 pages) ( 논문 ) 
남문현 (1998). 에디슨의 기업가 정신과 기술혁신 . 미국사연구 7, 1998, 47-90(44 pages)
The Korean Journal of American History 7, 1998.5 ( 논문 ) 홍익희 지음 . 에디슨과 테슬라 , 2012. 9. 22, 퍼플 간행 ,ISBN 978-89-24-00297-3 03400
김종상 글 , 김혜연 그림 , 교과서에 나오는 위대한 인물 에디슨 , 2013 1 판 8 쇄 , 삼성당 간 ISBN 978-89-14-0`640-9 (73990)
마가렛 체니 지음 , 이경복 옮김 니콜라 테슬라 ( 과학문명을 일백년 앞당긴 천재 과학자 ) ㈜양문 간행 , 초판 2002. 12. 20 ISBN 89-87203-15-8 03400
배진용 저 토마스 에디슨의 꿈 , 발자취 그리고 에디슨 DNA, 더하심 출판사 간행 , 초판 (2017. 2. 15) ISBN 979-11-959873-3-7
Richard Snow 지음 , I Invented the Modern Age, The Rise of Henry Ford 2013, Paperback Edition,
     SCRIBNER, A Division of Simon & Schuster, Inc. 간행 , ISBN 978-1-4516-4588-3
John Hudson Tiner, Samuel F.B. Morse: Artist with a Message (The Sower Series), Bibliography: p 165 including index, Mott Media, ISBN 0-88062-137-0
Ron Chernow 지음 , The House of Morgan : An American Banking Dynasty and the Rise of Modern Finance, 2001, Grove Press, ISBN 978-0-8021-4465-2
James Newton 지음 , Uncommon Friends, Life with Thomas Edison, Henry Ford, Haevey Firestone, Alexis Carrel & Charles Lindbergh, 1987,
     Hartcourt 출판사 간 , ISBN 0-15- 192753-7
Stephen B. Oates, Let the Trumpet Sound – The Life of Martin Luther King, JR.( A Mentor Book),
     Signet (Publisher) December 6, 1988, Paperback ISBN 1-451-62350-9
Francis E. Leupp 지음 , George Westinghouse : His Lifer and Achievements, 2015, Forgotten Books, ISBN 978-1-331-94365-5
James M. McPherson, Abraham Lincoln, 2009,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7452-0
Maury Klein 지음 , The Genesisi of Industrial America, 1870-1920, 2012,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67709-7
Dennis Brindell Fradin, Who Was Thomas Jefferson? Penguin Random House LLC, 2003, ISBN 978=0=448=43145-1
Matthew Josephson, The Robber Barrons, 1934, Copyright Renewed 1962, Harcourt ISBN 0-15-676790-2
 
앙드레 모로아 지음 , 신용석 옮김 , 미국사 , 1988 기린원 출판
양재열 지음 , 한국인을 위한 미국사 , 초판 2005, 도서출판 혜안 간행 , ISBN 89-8494-250-2 03940
이원복 글 , 그림 , 먼나라 이웃나라 미국 2 역사편 , 2005. 1. 10, 1 판 39 쇄 , 김영사 간 ISBN 89-349-1506-4
조지형 지음 , 미국헌법의 탄생 초판 2 쇄 , 2013. 9. 20, 서해문집 , ISBN 978-89-7483-550-7 93940
찰스 A. 쿱찬 지음 , 황지현 옮김 미국시대의 종말 The End of the American Era by Charles A. Kupchan 1 판 1 쇄 2005 김영사 간행 ISBN 89-349-1782-2 03330
찰스 모리스 지음 , 강대은 옮김 , The Tycoons 신화가 된 기업가들 , 1 판 1 쇄 , 2007 황금나침 반 간행 , ISBN 978-89-92483-17-9 03320
Don Tapscott & Alex Tapscott 지음 , 박지훈 옮김 , 박성준 감수 Blockchain Revolution 븧롯
체인 혁명 , 초판 10 쇄 2017. 10. 25, 을유문화시 간행 , ISBN 978-89-324-7345-1 03320
노엄 촘스키 자음 , 장영준 옮김 , 촘스키 , 변화의 길목에서 미국을 말하다 , 초판 1 쇄 , 2009, 시대의 창 간행 , ISBN 978-89-5940-137- 6 (03300)
빌 모너 , 에디슨 위긴 지음 , 이수정 , 이경호 옮김 , 세계사를 바꿀 달러의 위기 Empire of Debt,
     The Rise of An Epic Financial Crisis 초판 1 쇄 2006 돈키호테 간행 , ISBN 89-957-0983-9 03320
데일 카네기 지음 , 베스트트랜스 옮김 , 데일 카네기의 링컨이야기 Lincoln the Unknown 초판 7 쇄 2014 더클래식 간행 ,
앤드류 킬패트릭 지음 , 안진환 , 김기준 옮김 워렌버핏평전 The Story of Warren Buffet 초판 2 쇄 2008 월북 간행 ISBN 978-89-91141-39-1 04320
이재규 지음 . 역사에서 경영을 만나다 . 1 판 5 쇄 , 2011, 도서출판 사과나무 간행 ISBN 978-89-87162-82-9 03320
신경섭 지음 , 신경섭의 미국특허이야기 , 2 쇄 , 2003. 4. 25, 한솜미디어 간행, ISBN 89-89558-40-03810
박진수 지음 , 내 책을 출판하는 방법 , 1 판 1 쇄 , 2006, 도서출판 이치, ISBN 89-91215
앙마뉘엘 툴레 지음 , 김희균 옮김 , 영화의 탄생 , 초판 25 쇄 , 2012. 12. 5, ㈜시공사 간행,
     (원제 : Cinematographe, invention du siècle by Emmanuelle Toulet) ISBN 978-89-7259-334-8 03680
정 현 지음 , 영화기술의 역사 , 초판 1 쇄 , 2013. 2. 25, 커뮤니케이션스북스 ISBN 978-89-6680-193-0
민경원 지음 , 영화의 이해 , 초판 1 쇄 2014. 2. 28, 커뮤니케이션스북스㈜ 간행 ,ISBN 979-11-304-0109-6,
이코노미스트 2016.10.31 커버스토리 – 배터리 , 중앙일보 간행
채인택의 역사를 만든 부자들 , 알프레드 크루프 ‘기술혁신으로 부를 일군 독일의 철강왕’Forbes( 한국어판 , 2016 8 월호 )
리처드 C. 슈뢰더 외 지음 , 이덕남 옮김 미국의정부 Outline of U.S. Gorernment, 2016.4.20 1 판 7 쇄 미국 국무부 발행 ISBN 978-89-90287-44-1 04940
 
(참고 인터넷 사이트)
http://www.menloparkmuseum.org/1465-2/
https://en.wikipedia.org/wiki/Thomas_Alva_Edison_Memorial_Tower_and_Museum Internet Wikipedia , History of American Railroad,,
( https://en.wikipedia.org/wiki/Timeline_of_United_States_railway_history ) History of Rail Transport in the United States,
( https://en.wikipedia.org/wiki/History_of_rail_transport_in_the_United_States ) *Internet Wikipidia site, History of Western Union 
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Union * 인터넷 사이트 , History of Morse code,
http://www.history.com/topics/inventions/telegraph * 인터넷 사이트 History of the US Telegraph Industry,
https://eh.net/encyclopedia/history-of-the-u-s-telegraph-industry/ )
인터넷 사이트 , 카메라 역사 http://jalbum.com/gc/gate1/jalbum/tip/TIP020411_001.html , ,
인터넷 사이트 , Brief History of High Speed Carmera, https://people.rit.edu/andpph/text-hs-history.html ,
인터넷 사이트 , 동영상 촬영과 재생에 대한 역사 https://people.rit.edu/andpph/text-hs-history.html ,
인터넷 사이트 , Wikipedia Henry Ford, https://en.wikipedia.org/wiki/Henry_Ford
https://ko.wikipedia.org/wiki/ 조제프 니세포르 니엡스 
https://ko.wikipedia.org/wiki/ 윌리엄 헨리 폭스 탈보트 
ttps://ko.wikipedia.org/wiki/ 루이 자크 망데 다게르 
https://en.wikipedia.org/wiki/George_Eastman 
https://en.wikipedia.org/wiki/Hannibal_Goodwin 
https://en.wikipedia.org/wiki/Camera_obscura
http://www.code-electrical.com/historyofelectricity.html 
https://ko.wikipedia.org/wiki/ 전기
https://ko.wikipedia.org/wiki/ 벤자민 프랭클린
https://en.wikipedia.org/wiki/Stephen_Gray_(scientist) 
https://en.wikipedia.org/wiki/Charles_F._Brush
https://en.wikipedia.org/wiki/History_of_the_battery
http://batteryuniversity.com/learn/article/when_was_the_battery_invented 
http://www.allaboutbatteries.com/history-of-batteries.html
http://inventors.about.com/od/bstartinventions/a/History-Of-The-Battery.ht 
https://en.wikipedia.org/wiki/Leyden_jar 
https://ko.wikipedia.org/wiki/ 루지오 갈바니 
https://ko.wikipedia.org/wiki/ 알렉산드로 볼타
https://en.wikipedia.org/wiki/John_Frederic_Daniell 
https://en.wikipedia.org/wiki/Georges_Leclanch 
https://ko.wikipedia.org/wiki/J..P .. 모건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191075.html ( 제목 :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했고 , 모건이 세상을 재창조했다 ., 2017.2.15) 
https://www.viewsnnews.com/article?q=40540 
    ( 제목 : JP 모건 , 두차례 세계대전 - 대공황으로 ' 미국 부 40%' 독식 (170 년 비밀의 역사를 찾아서 ( 중 ) 공황과 전쟁의 법칙 )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23151
    ( 제목 : 세계 금융계를 암중 지배해 온 J.P. 모건  < 월가의 실체를 벗긴다 1, JP 모건의 164 년사 > 프레시안 박태건 기자 (2002. 7.25)
http://edison.rutgers.edu/yearofinno/TAEBdocs/Doc2_WeeklyHerald.pdf?DocId=D6201A&searc hDoc=Enter
    ( 내용 : 1861 년 Edison 기차에서 발간한 ‘ Weekly Herald ’ 관련사항 )
http://news.joins.com/article/3400741 ( 에디슨탄생 150- 주년 행시관련 중앙일보 장재열 기자 기사 )
http://magazine.kakao.com/carlabmedia/5805e3846a8e5100019f18f8 ( 에디슨은 전기자동차계의 핵심인물이었다 .)
https://www.asme.org/engineering-topics/articles/energy/george-westinghouse https://en.wikipedia.org/wiki/Fort_Myers,_Florida
https://en.wikipedia.org/wiki/Maury_Klein (The Genesis of Industrial America, 1870- 1920 저자 )
http://ethw.org/Norvin_Green (Norman Green, AIEE 창립자 , 초대회장 )
https://www.google.com/culturalinstitute/beta/exhibit/agJyIGxTlBg6JA (Edison, West Orange Lab.)
https://namu.wiki/w/ 오대호
https://www.edisla.kr/1-5 ( 에디슬라 박물관 ) 
https://namu.wiki/w/ 산업 %20 혁명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8641&cid=40942&categoryId=31818 ( 산업혁명 ) 
https://ko.wikipedia.org/wiki/ 제 2 차 _ 산업 _ 혁명 
https://ko.wikipedia.org/wiki/ 제 3 차 _ 산업 _ 혁명 
https://namu.wiki/w/ 정보 %20 혁명
https://www.foet.org/(Jeremy Rifkin) 위키백과 진공관 
https://ko.wikipedia.org/wiki/ 진공관 ), 
https://en.wikipedia.org/wiki/Zuiderzee ( 자이데르 해 )
http://saltofamerica.com/contents/displayArticle.aspx?19_334  ( Thomas Edison’s Inventive Life in Total )
http://usamap.tistory.com/entry/ 미국의 수도는 왜 , 뉴욕이 아닌 워싱턴인가요 
https://ko.wikipedia.org/wiki/ 미국독립전쟁 
https://ko.wikipedia.org/wiki/ 메이플라워
https://ko.wikipedia.org/wiki/ 제임스타운 ( 버지니아 주 ) 
https://ko.wikipedia.org/wiki/ 백년전쟁 
https://ko.wikipedia.org/wiki/ 트라팔가해전 
https://namu.wiki/w/ 호레이쇼 넬슨
http://www.sedaily.com/NewsView/1OEPW78LZQ ( 자크 까르띠에 ) 
https://ko.wikipedia.org/wiki/ 프렌치 인디언 전쟁 
https://ko.wikipedia.org/wiki/ 윌리엄 피트 (1759) 
https://ko.wikipedia.org/wiki/ 패트릭 헨리 
https://ko.wikipedia.org/wiki/ 자유의 아들들 
https://en.wikipedia.org/wiki/Charles_Townshend 
https://ko.wikipedia.org/wiki/ 존 디킨스 (1732) 
https://ko.wikipedia.org/wiki/ 보스턴 학살 
https://ko.wikipedia.org/wiki/ 보스턴 차 사건 
https://ko.wikipedia.org/wiki/ 존 핸콕
https://ko.wikipedia.org/wiki/ 토마스 게이지 
https://ko.wikipedia.org/wiki/ 미국 독립선언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Declaration_of_Independence 
https://namu.wiki/ 칼레 해전
https://ko.wikipedia.org/wiki/ 뉴 암스테르담
https://en.wikipedia.org/wiki/The_Battery_(Manhattan) 
https://www.google.co.kr/saint lawrense river
https://en.wikipedia.org/wiki/Nelson%27s_Column,_Montreal 
https://en.wikipedia.org/wiki/George_III_of_the_United_Kingdom 
https://en.wikipedia.org/wiki/Sugar_Act 
https://namu.wiki/ 프랜시스 드레이크
http://gaspesie.quebecheritageweb.com/article/brief-history-gaspe-peninsula- birthplace-canada
https://en.wikipedia.org/wiki/Sons_of_Liberty 
https://en.wikipedia.org/wiki/Stamp_Act_1765 
https://en.wikipedia.org/wiki/Benjamin_Edes
https://www.nps.gov/bost/learn/historyculture/warren.htm 
http://thomasyounggallery.com/about
https://en.wikipedia.org/wiki/James_Swan_(financier) 
https://en.wikipedia.org/wiki/Paul_Revere
https://en.wikipedia.org/wiki/John_Lamb_(general) 
https://en.wikipedia.org/wiki/Marinus_Willett 
https://en.wikipedia.org/wiki/Isaac_Sears 
https://en.wikipedia.org/wiki/Benjamin_Rush 
https://en.wikipedia.org/wiki/Charles_Thomson 
https://en.wikipedia.org/wiki/Haym_Salomon 
https://en.wikipedia.org/wiki/James_Otis_Jr . 
http://www.americanantiquarian.org/itprogram.htm
https://en.wikipedia.org/wiki/Isaiah_Thomas_(publisher) 
https://en.wikipedia.org/wiki/John_Brown_(Rhode_Island) 
https://en.wikipedia.org/wiki/Oliver_Wolcott
https://en.wikipedia.org/wiki/Charles_Willson_Peale 
https://en.wikipedia.org/wiki/Joseph_Allicocke 
https://en.wikipedia.org/wiki/Benedict_Arnold
https://en.wikipedia.org/wiki/John_Crane_(soldier) 
https://en.wikipedia.org/wiki/Hercules_Mulligan 
https://en.wikipedia.org/wiki/Alexander_Hamilton 
https://ko.wikipedia.org/wiki/ 네델란드 독립전쟁
https://www.nps.gov/edis/learn/historyculture/samuel-and-nancy-elliott-edison.htm 
https://ko.wikipedia.org/wiki/ 체서피크 만
 https://ko.wikipedia.org/wiki/ 루이 13 세 
https://ko.wikipedia.org/wiki/ 팰리페 2 세
https://ko.wikipedia.org/wiki/ 네델란드 독립전쟁 
https://ko.wikipedia.org/wiki/ 대륙회의 
https://ko.wikipedia.org/wiki/ 제임스 와트 
https://ko.wikipedia.org/wiki/ 벤자민 해리슨 
https://ko.wikipedia.org/wiki/ 윌리엄 해리슨 
https://ko.wikipedia.org/wiki/ 새러토가 전투
https://ko.wikipedia.org/wiki/ 제 1 대 _ 콘월리스 _ 후작 _ 찰스 _ 콘월리스 
https://en.wikipedia.org/wiki/Trenton,_New_Jersey 
https://ko.wikipedia.org/wiki/ 존 버고인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7/Sons_of_Liberty.jpg 
https://ko.wikipedia.org/wiki/William Howe 
https://ko.wikipedia.org/wiki/ 몬머스 전투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Monmouth 
https://ko.wikipedia.org/wiki/ 헨리 클린턴 
https://ko.wikipedia.org/wiki/ 찰스 리
https://ko.wikipedia.org/wiki/ 요크 타운 전투 
http://www.visitingyorktown.com/yorktown-monument.html
https://ko.wikipedia.org/wiki/ 연합회의
https://ko.wikipedia.org/wiki/ 로샹보 _ 백작 _ 장바티스트 _ 도나티앵 _ 드 _ 비뫼르 
https://ko.wikipedia.org/wiki/ 조지 워싱턴 
https://ko.wikipedia.org/wiki/ 파리조약 (1783) 
https://ko.wikipedia.org/wiki/ 연합규약 
https://ko.wikipedia.org/ 셰이즈의 반란
https://en.wikipedia.org/wiki/Articles_of_Confederation 
https://ko.wikipedia.org/wiki/ 제임스 메디슨 
https://ko.wikipedia.org/wiki/ 애런 버
https://ko.wikipedia.org/wiki/ 애런 버와 알렉산더 해밀턴의 결투 
https://ko.wikipedia.org/wiki/ 로버트 딘위디 
https://en.wikipedia.org/wiki/Sally_Fairfax 
https://ko.wikipedia.org/wiki/ 존 애덤스
https://en.wikipedia.org/wiki/John_Adams_Sr . 
https://en.wikipedia.org/wiki/Susanna_Boylston 
https://ko.wikipedia.org/wiki/ 토마스 제퍼슨 
https://ko.wikipedia.org/wiki/ 조지 클린턴 
https://ko.wikipedia.org/wiki/ 판테온
https://en.wikipedia.org/wiki/Tidal_Basin
https://en.wikipedia.org/wiki/Jefferson_Memorial 
https://ko.wikipedia.org/wiki/ 샐리 헤밍스 
https://ko.wikipedia.org/wiki/ 제임스 몬로 
https://ko.wikipedia.org/wiki/ 에이브러햄 링컨 
https://ko.wikipedia.org/wiki/ 윌리엄 수어드 
https://ko.wikipedia.org/wiki/ 스티븐 더글라스
https://ko.wikipedia.org/wiki/ 카를 폰 클라우제비치 
https://namu.wiki/w/ 전쟁론
https://eh.net/encyclopedia/the-economics-of-the-civil-war/ 
https://ko.wikipedia.org/wiki/ 윈필드 스콧 
https://ko.wikipedia.org/wiki/ 어빈 맥도웰
https://ko.wikipedia.org/wiki/ 윌리엄 태쿰세 셔먼 
https://ko.wikipedia.org/wiki/ 조지 매클렐런
https://www.nps.gov/gett/learn/historyculture/civil-war-timeline.htm 
https://ko.wikipedia.org/wiki/ 존 프리몬트 
https://en.wikipedia.org/wiki/Nathaniel_Lyon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Ball%27s_Bluff 
https://ko.wikipedia.org/wiki/ 제임스 롱스트리트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Belmont 
https://ko.wikipedia.org/wiki/ 칠일전투
https://ko.wikipedia.org/wiki/ 포트 헨리 전투
https://commons.wikimedia.org/wiki/George_B._McClellan#/media/File:GeorgeMcClellan.jpe g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Fort_Donelson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Pea_Ridge 
https://en.wikipedia.org/wiki/Samuel_Ryan_Curtis
https://www.history.com/this-day-in-history/u-s-s-monitor-battles-c-s-s-virginia 
https://en.wikipedia.org/wiki/John_Ericsson
https://en.wikipedia.org/wiki/Albert_Sidney_Johnston 
https://en.wikipedia.org/wiki/Black_Hawk_War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Shiloh
https://www.history.com/this-day-in-history/union-captures-new-orleans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Gettysburg 
https://ko.wikipedia.org/wiki/ 류 월리스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Seven_Pines 
https://en.wikipedia.org/wiki/First_Battle_of_Memphis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Antietam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Wallace_Lincoln 
https://en.wikipedia.org/wiki/Emancipation_Proclamation 
https://en.wikipedia.org/wiki/Joseph_Hooke r
https://en.wikipedia.org/wiki/Siege_of_Vicksburg 
https://en.wikipedia.org/wiki/George_Meade
https://en.wikipedia.org/wiki/Timeline_of_United_States_history

 

(참고영화 DVD)
‘Gone With The Wind’
Vivien Leigh, Clark Gable 주연, Victor Fleming 감독 1939 년 작

‘Gettysburg’
퓰리처상을 수상한 마이클 사라의 'The Killer Angel 원작을 영화화 함.
톰 베린저, 제프 다니엘스, 마틴 쉰 주연, Ronald Maxwell 감독 1993 년 작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Clint Eastwood 주연, 리 반 클리프, 엘리 윌라흐 조연.
세르지오 레오네 Sergio Leone 감독 1966 년 MGM 제작

‘Glory’
Matthew Broderik 주연, Danzel Washington, Morgan Freeman 조연
에드워드 즈윅 Edward Zwick 감독 1989 개봉, 1989 Academy 남우조연상 수상작

‘Drums in the Deep South’
가이 메디슨 Guy Madison 주연, William Cameron Menzies 감독 1951 년 작

‘Little Big Man’
더스틴 호프만, 훼이 더너웨이 Faye Dunaway 주연,
아서 펜 Arthur Penn 감독 1970 년 작
 
에디슨과 함께하는
미국의 탄생과 남북전쟁

357 쪽
발행일 : 2019. 1. 11 초판 1 쇄
출판등록 : 2013 년 12 월 24 일 제 2013-000245
지은이 : 홍영표 편
집 : 브이에스콤
표지디자인 : 홍성은
발행인 : 홍영표

발행처 : 키티스산학연정보㈜
주소 : 서울 서초구 서운로 19, 1106
전화 : (02) 3474-5290    팩스 : (02) 3474-4603
홈페이지 : http://www/kitis.co.kr     e-mail: hjlee@kitis.co.kr

ISBN : 979-11-953000-5-1
가 격 : 12,000 원   판매처 : 교보문고, 영풍문고
저작권자 2019, 저자 홍영표
이 책의 저작권자는 위와 같습니다.
저작권자의 동의없이 내용의 일부를 인용하거나 발췌하는 것을 금합니다.